[오늘의 영어표현] "cut somebody some slack" ✂️ "we will cross the bridge when we come to it" 🌉 "get your act together"

 Today’s Expressions

cut somebody some slack → (누군가에게) 좀 봐주다, 관대하게 대하다
we will cross the bridge when we come to it → 일이 닥치면 그때 해결하다
get your act together → 정신 차리고 제대로 하다


1. "cut somebody some slack" → (누군가에게) 좀 봐주다, 관대하게 대하다

📌 직역

이 표현을 직역하면 "누군가의 여유(느슨함)를 좀 잘라준다"는 말입니다.
말이 조금 이상하게 들리죠? 하지만 이건 상대방에게 엄격하게 굴지 말고, 사정 봐주라는 의미입니다.
특히 누군가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실수했을 때, "좀 봐줘~"라고 말하고 싶을 때 딱 좋은 표현입니다.

🖼️ 시각화에 도움되는 이미지

스트레스를 받은 동료의 어깨를 다정하게 토닥이며 위로하는 장면
스트레스를 받은 동료의 어깨를 다정하게 토닥이며 위로하는 장면

🧬 어원

이 표현은 원래 항해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
배의 밧줄을 느슨하게 해주는 것을 "give some slack"이라고 했는데요, 여기서 발전해서 사람에게도 긴장 풀고 여유를 주다는 의미로 쓰이게 된 것입니다.
즉, 꽉 조이지 말고 조금 느슨하게 대해주자는 따뜻한 뉘앙스가 담겨 있어요.

💬 예시

  1. I know he’s late again, but cut him some slack—he’s been going through a lot.
    그가 또 늦었지만 좀 봐줘. 요즘 많이 힘든 일이 있었거든.

  2. Can you cut me some slack today? I barely slept last night.
    오늘은 나 좀 봐줄래? 어젯밤에 거의 못 잤어.

  3. Teachers should cut students some slack during exam season.
    시험 기간 동안에는 선생님들이 학생들에게 좀 관대해져야 해.


2. "we will cross the bridge when we come to it" → 일이 닥치면 그때 해결하다

📌 직역

직역하면 “그 다리를 만나면 건너자”입니다.
즉, 아직 일어나지 않은 문제에 대해 미리 걱정하지 말고, 그 일이 실제로 닥쳤을 때 해결하자는 뜻이에요.
한국어로 치면 "쓸데없는 걱정 말자" 또는 "걱정은 나중에" 같은 말과 비슷하죠.

🖼️ 시각화에 도움되는 이미지

한 사람이 강가에 조용히 서서, 멀리 보이는 튼튼한 다리를 여유롭게 바라보는 모습
한 사람이 강가에 조용히 서서, 멀리 보이는 튼튼한 다리를 여유롭게 바라보는 모습

🧬 어원

이 표현은 영국에서 오랜 기간 사용된 속담에서 유래했습니다.
예전에는 실제로 강을 건너야 할 때 다리가 안전한지, 있는지도 모르는 상황이 많았기 때문에,
“지금부터 걱정하지 말고, 그 다리를 만나면 생각하자”는 말이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보다는 현재를 살아가는 태도를 담고 있습니다.

💬 예시

  1. What if we fail? — Well, we’ll cross that bridge when we come to it.
    우리가 실패하면 어떻게 해? — 음, 그건 닥치면 생각하자.

  2. Stop worrying about next year’s project. We’ll cross the bridge when we come to it.
    내년 프로젝트 걱정은 이제 그만해. 그때 가서 생각하자.

  3. She tends to panic, but I always tell her: “Cross the bridge when you come to it.”
    그녀는 쉽게 걱정하지만, 나는 항상 말해. "일이 닥치면 그때 생각하자"고.


3. "get your act together" → 정신 차리고 제대로 하다

📌 직역

이 표현은 “너의 행동을 함께 정리해”라는 말로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의미는 정신 바짝 차리고, 일이나 삶을 제대로 해라라는 강한 충고입니다.
특히 게으르거나 실수가 잦은 사람에게 단호하게 조언할 때 자주 쓰여요.

🖼️ 시각화에 도움되는 이미지

어질러진 방 한가운데에서, 한 청년이 결연한 표정으로 체크리스트를 들고 정리를 결심한 순간
어질러진 방 한가운데에서, 한 청년이 결연한 표정으로 체크리스트를 들고 정리를 결심한 순간

🧬 어원

이 표현은 20세기 중반 미국에서 생긴 구어체 표현입니다.
‘Act’는 연극에서 연기, 행동을 의미하는데, 연극배우가 무대에서 혼란스러울 때 “get your act together!”라고 하면 공연을 제대로 해라는 말이 됩니다.
그 맥락이 일반 대화로 확장돼, 삶이나 업무를 정리하고 집중하라는 의미로 발전했죠.

💬 예시

  1. You’ve missed three meetings this week. Get your act together!
    이번 주에 회의 세 번이나 빠졌어. 정신 좀 차려!

  2. If you want to pass the exam, you need to get your act together.
    시험에 합격하고 싶다면, 제대로 공부해야 해.

  3. After losing the game, the coach told the team to get their act together.
    경기에서 진 후, 코치는 선수들에게 정신 똑바로 차리라고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