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어표현] "throw in the towel", "rule of thumb", "figure of speech" 🧠📝

 Today's Expressions

throw in the towel → 포기하다
rule of thumb → 경험에서 우러나온 규칙
figure of speech → 비유적인 표현


1. "throw in the towel"

직역: 수건을 던지다 → 포기하다, 항복하다

직역

이 표현은 겉으로 보면 단순히 수건을 던지는 행동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 의미는 어떤 싸움이나 도전을 더 이상 이어가지 않고 포기하는 것입니다. 이 표현은 좌절했을 때, 혹은 상황이 너무 벅차서 물러서야 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노력했지만 결과가 보이지 않을 때 자주 쓰이지요.

시각화를 돕는 이미지

복싱 링의 한 선수 팀에서 수건을 던지며 경기를 포기하는 장면
복싱 링의 한 선수 팀에서 수건을 던지며 경기를 포기하는 장면

어원

"throw in the towel"은 원래 복싱 용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선수의 코치가 경기를 멈추기 위해 수건을 링 안으로 던지며 *“우리는 더 싸울 수 없다”*는 뜻을 전달하곤 했습니다. 이 표현은 20세기 초부터 점차 스포츠 외의 상황에도 쓰이기 시작했으며, 지금은 비즈니스, 연애, 공부 등 다양한 상황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예시 문장

  1. After months of trying to fix the old car, he finally threw in the towel.
    몇 달 동안 고치려 애쓰던 오래된 차를 결국 포기했다.

  2. She didn’t want to throw in the towel, but the stress was too much.
    그녀는 포기하고 싶지 않았지만, 스트레스가 너무 심했다.

  3. Sometimes it's better to throw in the towel than waste more energy.
    때로는 더 이상 힘을 낭비하기보다 포기하는 게 낫다.


2. "rule of thumb"

직역: 엄지손가락의 규칙 → 경험에 의한 일반적인 기준

직역

처음 들으면 엄지손가락과 규칙이 무슨 관계일까 싶습니다. 하지만 이 표현은 정확한 계산이나 과학적인 분석보다는 경험에 바탕을 둔 일반적인 원칙이나 규칙을 의미합니다. 즉, 완벽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잘 맞는 ‘감각적 기준’이라고 볼 수 있지요.

시각화를 돕는 이미지

목수가 손가락을 이용해 대략적인 길이를 재는 장면
목수가 손가락을 이용해 대략적인 길이를 재는 장면

어원

"rule of thumb"은 1600년대 영국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과학적인 도구 없이도 손가락, 특히 엄지를 사용해 대략적인 길이를 측정하던 관습에서 나왔습니다. 이는 목수들이 엄지를 자로 삼아 일을 하던 데서 유래했으며, 오늘날에는 '정확하지 않지만 실용적인 기준'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예시 문장

  1. A good rule of thumb is to save at least 20% of your income.
    좋은 경험칙은 수입의 20% 이상을 저축하는 것이다.

  2. As a rule of thumb, cook the pasta for about 10 minutes.
    일반적인 기준으로 파스타는 약 10분간 끓인다.

  3. I use the rule of thumb when estimating travel time—1 hour for every 60 km.
    나는 여행 시간을 추정할 때 경험에서 나온 기준을 쓴다—60km당 1시간.


3. "figure of speech"

직역: 말의 형태 → 비유적인 표현, 수사법

직역

"figure of speech"는 직역하면 ‘말의 형태’지만, 실제로는 문장을 더 풍부하게 만드는 수사 표현이나 비유적인 말을 뜻합니다.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비유나 과장을 통해 감정이나 의미를 전달하는 표현들이 이에 해당됩니다. "Time flies"처럼 시간을 새에 비유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시각화를 돕는 이미지

입에서 나오는 말들이 날아다니는 시계, 하트, 불타는 구름 등으로 변하는 모습은 감정과 상상을 담은 비유적 언어의 마법을 보여줌
입에서 나오는 말들이 날아다니는 시계, 하트, 불타는 구름 등으로 변하는 모습은 감정과 상상을 담은 비유적 언어의 마법을 보여줌

어원

이 표현은 라틴어 "figura" (형태) 와 영어 **"speech" (말)**이 합쳐진 것으로, 고대 수사학에서 사용된 용어였습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말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비유, 은유, 과장 등 다양한 표현 기술을 개발했는데, 그것이 지금의 "figure of speech"로 전해진 것입니다.

예시 문장

  1. “Break a leg” is just a figure of speech; it means good luck.
    “다리를 부러뜨려”는 단순한 비유 표현으로, 행운을 빈다는 뜻이다.

  2. Don’t take it literally—it’s just a figure of speech.
    그걸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마—그건 그냥 비유적 표현이야.

  3. Many songs use figures of speech to express deep emotions.
    많은 노래들이 깊은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 비유 표현을 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