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영어표현] "ugly duckling", "veg out", "tip of the iceberg" 🐤🧊

 

오늘의 표현 요약

ugly duckling → 미운 오리 새끼
veg out → 아무것도 하지 않고 뒹굴거리다
tip of the iceberg → 빙산의 일각


1. "ugly duckling" → 미운 오리 새끼

직역

‘ugly duckling’은 ‘못생긴 아기 오리’라는 뜻이에요. 하지만 이 표현은 단순히 외모에 대한 것이 아니라 성장과 변화를 상징합니다.
처음에는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나중에는 멋지게 변하는 사람이나 사물을 묘사할 때 사용하죠.
이 표현은 사람의 외모, 능력, 혹은 평가받는 위치에 대한 이야기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시각화를 돕는 이미지

미운 오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백조가 될 아이 오리
미운 오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백조가 될 아이 오리
 

어원

이 표현은 덴마크의 동화 작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 『미운 오리 새끼(The Ugly Duckling)』에서 유래했어요.
이 동화 속 오리는 태어났을 때는 남들과 달라서 따돌림을 당하지만, 결국은 아름다운 백조가 되죠.
그 이야기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면서, 초라해 보이지만 나중에 크게 성장하는 존재를 ‘ugly duckling’이라고 표현하게 된 거예요.

예시 문장

  1. She used to be an ugly duckling, but now she's a fashion model.
    → 그녀는 예전엔 미운 오리 새끼였지만, 지금은 패션 모델이에요.

  2. That startup was an ugly duckling for years before it became successful.
    → 그 스타트업은 몇 년간 미운 오리였지만 결국 성공했어요.

  3. I felt like the ugly duckling in high school, but things changed in college.
    → 고등학교 때는 미운 오리 같았지만, 대학에서는 달라졌어요.


2. "veg out" → 아무것도 하지 않고 뒹굴거리다

직역

‘veg out’는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채소가 되다’**입니다. 상상이 되시나요?
바로, 아무 생각 없이 널브러져 있는 모습이 마치 식물처럼 느껴진다는 뜻에서 유래했어요.
긴 하루나 한 주를 보낸 후, 아무것도 하지 않고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시각화를 돕는 이미지

소파에 누워 팝콘을 먹으며 TV를 보는 모습
소파에 누워 팝콘을 먹으며 TV를 보는 모습

어원

이 표현은 **"vegetate"**라는 단어에서 줄여진 것이에요.
‘vegetate’는 본래 ‘식물처럼 존재하다’라는 뜻으로, 활동이나 생각 없이 무기력하게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나온 ‘veg out’는 1980년대 미국에서 TV를 보며 멍하니 있는 상태를 묘사하는 말로 유행하게 되었어요.

예시 문장

  1. I just want to veg out this weekend and watch some Netflix.
    → 이번 주말엔 그냥 널브러져서 넷플릭스나 보고 싶어요.

  2. After the exam, he vegged out on the couch all day.
    → 시험 끝나고 그는 하루 종일 소파에서 뒹굴거렸어요.

  3. Sometimes you need to veg out to recharge.
    → 가끔은 재충전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아야 해요.


3. "tip of the iceberg" → 빙산의 일각

직역

‘tip of the iceberg’는 ‘빙산의 꼭대기 부분’이라는 뜻이에요.
하지만 진짜 의미는, 전체 중에서 보이는 아주 작은 부분이라는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문제는 실제로 훨씬 더 큰 문제의 일부일 뿐일 때 사용하는 표현이에요.

시각화를 돕는 이미지

수면 위로 살짝 드러난 빙산 꼭대기 아래에 거대한 본체가 숨어 있는 모습
수면 위로 살짝 드러난 빙산 꼭대기 아래에 거대한 본체가 숨어 있는 모습

어원

이 표현은 실제 빙산에서 유래했어요.
빙산은 수면 위로는 10%만 보이고, 나머지 90%는 물 아래에 숨어 있습니다.
이 점에서 착안해, 보이는 현상이 실제보다 훨씬 작고 겉보기만의 일부일 때 사용하는 비유적인 표현이 되었죠.
사회 문제, 사고, 감정 등에 자주 사용됩니다.

예시 문장

  1. The corruption we saw was just the tip of the iceberg.
    → 우리가 본 부패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었어요.

  2. His anger is only the tip of the iceberg—he’s going through a lot.
    → 그의 분노는 빙산의 일각일 뿐이에요. 속에 쌓인 게 많죠.

  3. These bugs are just the tip of the iceberg in the software.
    → 이 버그들은 그 소프트웨어의 문제 중 일부에 불과해요.



댓글